본문 바로가기

주식

[급등주] 포스코 계열사 일제히 급등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포스코,포스코엠텍,포스코케미칼,포스코ICT,포스코인터내셔널)

반응형

[급등주] 포스코 계열사 일제히 급등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포스코, 포스코엠텍, 포스코 케미컬, 포스코 ICT, 포스코 인터내셔널)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포스팅을 올리네요

요즘 제가 바빠서 블로그에 글을 자주 못 올렸는데요.

요즘 주식장이 조정 중에 있어서 많은 투자자분들이 힘드실 거라고 예상됩니다.

서론은 거두절미하고 오늘의 포스팅은 포스코 계열사들이 일제히 급등하는 이유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포스코는 2018년에 아르헨티나에 있는 '옴브레무에르토'라는 염호(소금 호수)를 3200억 원에 샀습니다

이 염호의 탄산리튬 배장량 규모는 인수 시점 기준으로 2018년에 추산한 220만+ 대비 약 6배가 늘어난 1350만+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 염호를 통해 향후에는 매출이 35조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포스코 측은 이를 활용하여 2030년까지 2차 전지 소재의 원료인 리튬, 니켈, 흑연 등의 자체 공급체계를 만들고 포스코 케미컬은 이를 원료로 양극재 40만 T, 음극재 26만 T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서 포스코 계열사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원료에서부터 2차 전지 소재까지 생산하는 소재 벨류체인을 완성할 전망에 있습니다.

 

포스코 계열사들은 지금 급등하고 있는 중이며 그중 눈에 띄는 주식은 포스코엠텍인데 상한가를 기록 후 계속 상승추세에 있습니다.

 

 

1. POSCO (005490)

POSCO

판매량 회복과 mix 개선

 

POSCO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단일 사업장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인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법상 포스코 기업집단에 속해 있으며 현재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는 39개가 잇습니다

매출은 철강부문 49.18%, 무역부문 34.14%, E&C부문 11.56%, 기타 부문 5.12%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감소, 영업이익은 53.5% 감소되었고 당기순이익은 49.5% 감소되었습니다. 부진한 수요로 탄소강 ASP는 하락했으나, 원재료 투입단가 하락으로 전분기와 유사한 스프레드가 유지됩니다. 광양 3고로 재가동과 자동차용 강재를 중심으로 전체 판매량 회복에 따른 고정비 부담 축소 및 고부가 제품인 자동차 강판을 비롯한 WTP 판매량 증가에 따른 SALES MIX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2. 포스코 ICT (022100)

포스코ICT

수주 증가와 매출 증대

 

포스코 ICT는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서비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9년 11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 2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ICT와 Engineering 융합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철강분야를 주력으로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핵심 ICT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 연속공정 '포스 프레임'플랫폼을 기반으로 포스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확대함으로써 경영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5.8% 증가, 당기순이익은 10% 감소하였습니다. 스마트 물류를 중심으로 수주가 증가하면서 매출액이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판매비와 관리비가 감소하여 영업이익이 증가하였고, 포스코 ICT는 분류 물류 사업으로 진출하여 한진 등 물류기업의 대규모 물류센터 구축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Smart Logistics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 중입니다.

 

3. 포스코엠텍 (009520)

포스코엠텍

더딘 실적 성장

 

철강포장 및 철강부원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 포스코 페로망간공장강포장 및 철강부원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 포스코 페로망간공장, 동판재공장 등을 위탁 운영하며 해당 역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동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 철강산업은 원재료 가격 급등, 중국발 과잉 생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 삼중고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매출은 포장작업 58.55%, 철강원료 28.32%, 위탁운영 11.68%, 엔지니어링 1.45%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4% 감소, 영업이익은 9.1% 감소, 당기순이익은 9.8% 감소. POSCO의 조강생산량 및 제품 판매량이 각각 949만 톤, 889만 톤으로 당초 예상하였던 수준을 상회하였고 탈산제 롤마진도 개선되었습니다. 철강 업황이 어려운 상황에서 전방산업으로의 공급계약이 갱신됨에 따라 동사의 이익 수준은 전분기 대비 낮아진 것으로 판단됩니다.

 

4. 포스코케미칼 (003670)

포스코케미칼

꾸준한 성장세이나 수익성 관리 필요

 

포스코케미칼은 내화물의 시공 및 보수, 각종 공업로의 설계, 제작 및 판매, 석회제품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1971년 설립되었습니다. 1994년에 염기성 내화물의 제조와 판매 등의 사업을 주목적으로 설립된 삼화화성을 흡수 합병하였습니다. 기업집단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로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는 총 34개임. 국내 내화물 시장에서 약 22%(2018년 기준)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0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증가, 영업이익은 40.8% 감소, 당기순이익은 84.1% 감소. 주력부문에서 꾸준한 외형 성장세를 기록하였으나, 원가율 상승 및 판관비 급증 영향으로 수익성은 비교적 크게 하락한 모습입니다. 포스코, OCI 등 대형 거래선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수주를 바탕으로 향후 꾸준한 성장세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5.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포스코인터내셔널

교역 감소와 에너지인프라사업 부진

 

2000년 12월 대우의 무역부문의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8월 포스코가 한국 자산관리공사 등으로부터 지분 68.2%를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2017년 포스코 P&S의 철강 등 사업부문을 흡수 합병하였습니다. 2020년 4월 철강 가공사업을 물적 분할함. 수출입업, 중개업, 자원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철강, 비철금속, 화학제품, 자동차 부품, 기계, 선박 및 플랜트, 전기전자, 곡물, 원유 등이 주요 품목입니다.

코로나 19 영향으로 전반적인 교역이 위축되고 에너지 인프라 사업 부문 부진으로 2020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4%, 영업이익은 23.7% 감소하였습니다. 에너지 인프라 사업은 미얀마 가스전 판가 하락 및 정기 유지보수에 따른 판매량 감소로 부진하였습니다. 철강사업은 에너지강재, 조선 강판 판매 부진에도 불구 중국시장 판매 확대로 선방했습니다. 미얀마 해상 A-3 광구 마하 평가시추 및 신규 탐사시추를 위해 1086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글을 마치며..

지금 미국 국채금리가 상승하면서 나스닥이 계속 하락 횡보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주가가 크게 반영되기 때문에 계속 같이 횡보를 하고 있는데요

그런 와중에 한국의 대표기업인 포스코가 힘을 써주니 정말 자랑스럽네요

다들 힘든 조정장에 힘내시길 기원하며 제 글을 참고하여 성공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투자함에 있어 참고자료일 뿐이며, 선택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